볼수록 경탄을 자아내는 아름다운 건축물 경복궁 경회루 (景福宮 慶會樓) 국보 제 224호
경복궁 근정전 서북쪽 연못 안에 세운 경회루는, 나라에 경사가 있거나 사신이 왔을 때 연회를 베풀던 곳이다.
경복궁을 처음 지을 때의 경회루는 작은 규모였으나, 조선 태종 12년(1412)에 연못을 넓히면서 크게 다시 지었다.
그 후 임진왜란으로 불에 타 돌기둥만 남은 상태로 유지되어 오다가 270여 년이 지난 고종 4년(1867)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경회루도 다시 지었다.
연못 속에 잘 다듬은 긴 돌로 둑을 쌓아 네모 반듯한 섬을 만들고 그 안에 누각을 세웠으며,
돌다리 3개를 놓아 땅과 연결되도록 하였다.
앞면 7칸·옆면 5칸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누각건물에서 많이 보이는 간결한 형태로 꾸몄다.
태종 때 처음 지어진 경회루는 성종 때 고쳐지으면서
누각의 돌기둥을 화려하게 용의 문양을 조각하였다고 전해지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이후 고종대에 다시 지으면서 지금과 같이 간결하게 바깥쪽에는 네모난 기둥을,
안쪽에는 둥근기둥을 세웠다. 1층 바닥에는 네모난 벽돌을 깔고 2층 바닥은 마루를 깔았는데,
마루의 높이를 3단으로 각각 달리하여 지위에 따라 맞는 자리에 앉도록 하였다.
경복궁 경회루는 우리 나라에서 단일 평면으로는 규모가 가장 큰 누각으로,
간결하면서도 호화롭게 장식한 조선 후기 누각건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는 소중한 건축 문화재이다.
'민족의 얼이 담긴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경궁 명정전 (昌慶宮 明政殿) 국보 제226호 (0) | 2015.01.26 |
---|---|
창덕궁 인정전 (昌德宮 仁政殿) 국보 제225호 (0) | 2015.01.25 |
조선 왕조 제일의 법궁 경복궁의 근정전 (景福宮 勤政殿) - 국보 제 223호 (0) | 2015.01.23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陜川 海印寺 高麗木板) 국보 제206호 (0) | 2015.01.20 |
충주 고구려비 (忠州 高句麗碑) 국보 제205호 (0) | 201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