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사 1 - 전남 장성 (백암산 ) ; 사진갤러리
< 백양사 >
고불총림 백양사!
내장산 국립공원 안에 있는 절로, 백제 무왕(632년)때
창건했다고 전한다.
거대한 백암산 바위를 배경으로 좌우에 맑고 찬 계곡물이 흘러내려 경치가 매우 수려하다.
가을 단풍을 비롯하여 일년내내 변화있는 아름다운 경치를 보여준다.
대웅전, 극락보전, 사천왕문은 지방문화재로 소요대사부도는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갈참나무와 단풍나무가 도열하듯 서 있는 숲길을 지나 백양사 입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쌍계루가 눈에 띈다. 앞에는 계곡을 막아 만든 연못, 뒤로는 기암절벽이 병풍처럼 서 있어 연못물에 어른거리는
쌍계루의 모습이 한폭의 그림 같다.
쌍계루를 지나면 대웅전과 극락보전, 부도탑이 나온다. 백양사는 창건 당시 백암사였다가 고려 때 정토사로 바뀌었다.
조선 선조 때 환양조사가 불경을 읽을 때마다 흰양이 설법을 들었다해서 백양사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선도량으로 유명했던 곳으로 불교계를 이끌었던 고승들도
많이 배출되었다.
일제 때 2대 교정(종정)을 지낸 환응, 조계종 초대 종정 만암, 태고종 초대 종정 묵담 등 근래에 와서 서옹당 종정 등 고승만도 5명이나 된다.
등산로 쪽으로 올라가면 암자가 많다. 약사암과 운문암, 천진암 등은 경관도 뛰어나다.
절 입구에서 20분 거리인 약사암은 전망대 격으로 첩첩산중에 둘러싸인 백양사의 모습이 한눈에 조망된다.
절 경내와 맞은 편에는 난대성의 늘푸른나무인 비자나무 5,000그루가 군락을 이뤄, 천연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주차장에서 절로 오르는 0.5km 구간에 우거진 수백년된 아름드리 갈참나무 거목들, 3,000여 그루의 고로쇠나무와 비자림은
산림욕 하기에 더없이 좋다.
○ 봄이 깊어지면 전국의 초록도 더욱 짙어간다. 비라도 한바탕 퍼붓고 나면 온 산은 매서운 속도로
초록으로 갈아입는다.
백양사 가는 길에는 아름다운 숲이 있고, 자그마한 연못이 있고, 계곡도 있다.
백양사는 나무와 숲이 좋은 산사다. 늦봄 숲길은 어디 내놔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울창하고 아름답다. 아름드리
수목이 많아서 숲길은 한여름에도 시원하다.
원래 백양사는 단풍이 유명하다. 그렇다고 봄 풍광이 뒤지는 것은 아니다. 단풍이 좋으면 신록이 좋은 법. 어느 사찰 숲보다도 녹음이 우겨져 있다. 더구나 가을 애기단풍을 보려온 관람객도 없으니 시끄럽지 않아 좋다.
쳇바퀴 돌 듯 반복되는 일상에 몸도 마음도 지쳐 있을 때. ‘지쳤다’ 생각되면, 주저 없이 찾아볼 만한 곳이다.
매표소를 지나 백양사로 접어들면 호젓한 오솔길 양쪽으로 단풍나무와 굴참나무, 은행나무가 저마다의 빛깔을 뽐내며 방문객을 안내한다.
이곳의 굴참나무는 600년 된 거목으로 전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귀한 나무들이다.
백양사 바로 앞에는 회색빛 돌로 계곡을 막아 만든 자그마한 연못과 쌍계루가 있다. 연못위에 드리워진 비자나무 잎이 맑은 물에 반영돼 한 폭의 수채화를 이뤄낸다.
휘어진 가지와 푸른 잎사귀 하나까지 선명하게 비치는 물그림자.
정갈한 비자나무숲 한가운데 자리한 부도탑에는 소여대사 부도를 비롯한 18개의 부도가 오랜 가람의 역사와 고승들의 향기를 전한다.
쌍계루는 백양사 누각의 백미(白眉)다.
밖에서 보아도 아름답고, 누각에 올라서 보아도 아름답다.
고개를 들면 백학봉의 학바위가 병풍처럼 서 있다. 짙푸른 녹음에 싸여 산사의 늦봄을 한층 운치있게 해준다.
쌍계류를 지나 계곡에 놓인 다리를 넘으면 천왕문이 나온다.
천왕문의 현판은 해강 김규진(金圭鎭·1868~1933)이 쓴 글이다.
마당 한가운데 크게 자란 보리수 곁을 돌아 이층 건물인 우화루를 지나면 너른 절 마당이 나온다. 마당에는 백암산 쪽으로 대웅전이 있고 좌측으로 칠성각, 진영각, 극락보전, 명부전이 차례로 둘러 서 있다.
경내는 단아하면서 조용하다.
송광사와 더불어 호남 최대의 고찰이지만 법당은 오히려 화려하지 않고 수수하다.
일반인이 출입이 가능한 곳도 대웅전과 극락보전 등 몇 곳에 불과하다. 당우는 상당 부분이 선도량으로 사용돼 담 너머로 슬쩍 구경하는 게 고작이다.
참선하는 스님들의 독경 소리만이 허공을 가른다.
진지하고 평화로운 자연의 세계. 자연의 품안에서 고즈넉이 앉아 있는 산사에서 온갖 상념에 잠겨보면 금세 일상을 훌훌
털어 낼 수 있다.
백제 무왕 33년(632년) 지어진 백양사는 1,370년 역사를 지닌 가람. 본래 이름은 백암사.
조선 선조 때 지완 스님이 영천굴에서 설법을 할 때, 하얀 양(白羊)이 산에서 내려와 들었다고 해서 이름을 백양사로 바꿨다고 한다.
조계종 제 18교구의 본사로서 각진국사를 비롯해 만암 대종사, 서옹 종정 등 이름난 스님들이 거쳐 갔다. 운문암, 청류암, 천진암 등 10여개의 암자를 거느리고 있다.
백양사의 특징은 대웅전이 입구 정면에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산의 정기를 받기 위해서인지 입구 우측 학바위 쪽에 위치해 있다.
직각에 가깝게 가파른 등산로를 따라 한참 올라가면 약사암에 닿는다. 백양사가 한 눈에 들어온다.
약사암 뒤로는 영천굴과 약수가 있다.
영천굴에는 예전에 쌀이 나왔으니 지팡이로 그 자리를 찔렀더니 피가 흘러 벽이 붉어졌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봄의 기운이 한찬으로 치닫는 사월월.
절 입구 연못과 경내에 연등이 가득 달렸다.
그러고 보니 어린이날이 부처님 오신 날이다.
아마도 천진 무구한 우리 미래의 희망과 같은 어린이들의 아름다운 모습과 부처님의 자비심의
그뜻은 같으리라
세상은 열기로 가득하고 머리는 무겁다.
맑은 숲과 푸른 물이 그리울 때 백양사로 한번 가보자.
세상사에 닳고 지친 마음을 내려놓고 백양사 숲길을 걸어보자
쌍계루앞 못의 잔잔함처럼 말고 잔잔한 마음으로 정화되리라 생각된다
찾아주신 님들!!!
오늘하루도 즐겁고 아름다운 날들로 만드시길 기원합니다
'06년 4월 .....
............ 양지방이올
'아름다운 명찰 순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갑사 -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0) | 2006.04.25 |
---|---|
백양사 2 - 전남 장성 (백암산 ) (0) | 2006.04.22 |
개심사 - 충남 서산(운산, 가야산) (0) | 2006.03.18 |
수덕사 - 충남 예산 (0) | 2006.03.18 |
선운사 - 전북 고창 ( 풍천장어와 복분자술의 고장 ) (0) | 2006.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