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산 (馬耳山道立公園) 1 ; 서설
엇그제는 마이산을 찾았다
누구나가 이곳 마이산을 찾고난 뒤에는 한마디씩 하게된다.
산이 그렇게 만든다 할 것이다.
우선은 산의 생김새가 특이해서일 것이고,
남쪽에 탑사라는 절 때문인데, 이 절주변에 쌓아진 돌탑을 보고
그 진기함에 많은 얘기거리가 파생되기 때문이리라.
아마도 이곳의 돌탑이 요즈음엔 유명해져서 일까.
웬만한 곳마다 돌탑을 쌓고 있으니 그 유행(?)도 이곳에서 출발했으리라.......
마이산의 설명 글을 다음과 같이 인용해본다
전라북도 진안군(鎭安郡) 진안읍(鎭安邑)과 마령면(馬靈面)의 경계에 위치하는 2개의 큰 산봉우리.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봉우리 2개가 높이 솟아 있기 때문에 용출봉(湧出峰)이라 하여 동쪽을 아버지, 서쪽을 어머니라 하였으며 신라시대에는 서다산(西多山)이라 불렀으나
조선시대 태종이 남행(南幸)하여 그 모양이 말의 귀와 같다 하여 마이산이라 하였다.
지금은 속칭으로 동쪽을 수마이산(667m), 서쪽을 암마이산(673m)이라고 부른다.
두 산봉우리는 동서방향으로 분포하여 진안읍 쪽의 북사면과 마령면 쪽의 남사면은 사면의 방향에 따라서 기후지형학적(氣候地形學的) 지형 형성작용에 차이가 있어서, 습한 북사면에는 식생이 번성하나 남사면은 건조하여 식생이 빈약하다.
금강과 섬진강의 분수계가 되어 강정골재(350m)에서 수계가 나누어진다. 일대의 자연경관과 사찰들을 중심으로 1979년 10월 전라북도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깎아지른 듯한 수마이산 기슭의 숲속에 은수사(銀水寺)라는 절이 있고 그 밑에 마이탑사(塔舍)가 있다. 이곳은 약 100여 년 전 이갑용(李甲用)이 쌓아올린 80여기의 돌탑으로 만들었는데 불규칙한 자연석을 모아 원추형 혹은 기둥모양으로 쌓은 것이다.
남쪽의 신라시대 고찰 금당사(金塘寺)에는 은행나무에 조각된 금당사목불좌상(金塘寺木佛坐像;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18호)과 14위의 관음보살상을 그린 9m 길이의 금당사괘불(보물 제1226호) 등이 있다.
주요문화재 : 1) 마이산(명승 제12호)
2) 마이산 석탑(지방기념물 제35호)
3) 금당사 목불좌상(시도유형문화재 제18호)
4) 금당사 괘불탱화(보물 제1266호)
5) 금당사 3층석탑(문화재자료 제122호)
................ 양지방이올
북부주차장 아래의 약룡대저수지에서 바라본 마이산
- 비교적 마이산의 형태가 살아나 보이는 곳이다
진안 읍내에서 바라본 마이산
- 마이산의 형태를 제대로 살리려면 읍내에서 원경을 담아야 하지만
카메라의 성능도 좋아야 할뿐더러 날씨의 영향도 많이 받는 단점이 있다
은수사에서 바라본 마이산 일부
- 남부에서 북부로 넘어가는 암마이산과 숫마이산의 사이의 안부
탑사의 돌탑중 가장 크고 멋있는 천지탑의 쌍 돌탑
- 탑사 대웅전 뒷편에 있다
탑사 전경
숫마이산의 형태가 코끼리형태로 보인다는 위치에서 바라본 마이산
지근 거리에서 사진을 담아서 꼭데기점은 안으로 굽은것 처럼 보였다
광대봉 가는길 해발 540미터 봉두봉에 있는 이갑용 처사의 묘
- 탑사의 돌탑을 쌓은 이갑용처사는 효령대군 17세손이라 비석에
새겨져 있었다.
- 효령대군은 이조시대 3대 임금님이신 태종의 둘째아드님으로서
세종대왕(충령대군)의 형, 양영대군의 아래동생이 된다
탑사에서 봉두봉으로 오르는 길에서 바라본 암마이산
마이산의 특징중 또하나 특이한 것은 암석 지질이 콘크리이트 지질이라는 것인데,
말그대로 화강암등과 같이 하나의 암석 지질이 아니라 건축시 자갈과 모래, 시멘트
등으로 버무려놓은 콘크리이트 처럼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지질을 타포니 지질이라고도 한다
이는 하천 같은 곳에 모래와 흙, 그리고 자갈, 큰돌들이 함께 있는 상태에서
지각변동에 의해 융기된 것이라서 이러한 독특한 지질을 나타내게 되었다 한다
남부주차장에서 탑사로 오르는 길에 있는 탑영제 저수지를 봉두봉에서 바라본 풍경
- 벗꽃이 만개하여 한폭의 그림처럼 아름답다
백두대간중 한남금남정맥 등산길인 은티재에서 바라본 마이산
광대봉 가는길에 있는 팔각정( 해발 527미터의 나봉암)에서 마이산을 배경으로 블로거도 한컷
'멋이 숨쉬는 산행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산 3 - 마이산 자세히 알아보기 (0) | 2007.04.16 |
---|---|
마이산 2 - 타포니 현상에 대하여... (0) | 2007.04.16 |
주왕산 8 ; 입구 상가의 이색 물품들 2 (0) | 2007.04.12 |
주왕산 7 ; 입구 상가의 이색 물품들 1 (0) | 2007.04.12 |
주왕산 6 ; 아름다운 기암들 - 경북 청송 ( 2007. 4. 7 ) (0) | 2007.04.09 |